💡 지금부터 시작하는 은퇴 설계 – 내가 따르는 계좌 활용 순서 5단계
많은 분들이 '은퇴 준비는 나중에 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지금 당장 시작해야 훨씬 가볍고 덜 부담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아이 있는 가장으로서, 매달 자동으로 은퇴 준비를 실천하며 안정감을 느끼고 있어요.
오늘은 재정적 자유(Financial Freedom)를 위한 은퇴 준비 순서를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 1. 401(k) 또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은퇴 플랜 먼저
회사에서 401(k), 403(b), TSP 등 은퇴 플랜을 제공한다면 무조건 먼저 시작하세요.
매칭(Matching)이 있다면 반드시 100% 활용하고, 가능하다면 연간 맥스로 채우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401(k) vs IRA – 미국 은퇴 준비,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까?
✅ 2. 회사 은퇴 플랜이 없다면 → IRA 또는 Roth IRA
직접 계좌를 열어 Traditional IRA 또는 Roth IRA에 불입하세요.
세금 혜택도 받고, 수수료 적은 ETF나 우량주로 장기 투자가 가능합니다.
수입이 높아 Roth에 직접 불입이 어렵다면 Backdoor Roth 전략을 통해 우회적으로 전환 가능합니다.
👉 Roth IRA vs Traditional IRA – 어떤 게 더 유리할까?
✅ 3. HSA (Health Savings Account) 활용
HSA는 유일하게 Triple Tax Benefit이 있는 계좌입니다.
세금 공제 + 투자 수익 비과세 + 의료비 사용 시 면세 출금 가능.
나중에 의료비나 노후비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니, 은퇴 준비에 매우 유용합니다.
👉 세금 아끼고 투자도 된다? HSA를 몰랐다면 꼭 보세요!
✅ 4. 자녀 교육비를 생각한다면 → 529 플랜
자녀의 대학 등록금을 계획한다면 529 플랜을 활용하세요.
투자 수익은 비과세이며, Qualified Education Expense로 사용 시 세금 없이 인출 가능합니다.
👉 자녀가 대학 안 가면 529 플랜은 어떻게 되나요? 벌금부터 해결책까지 완벽 정리
✅ 5. 남은 자금은 일반 증권 계좌로 분산 투자
위의 모든 세금 혜택 계좌를 최대한 활용한 후에도 자금 여유가 있다면
일반 브로커리지 계좌에서 분할 매수 + 분산 투자 전략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가세요.
🧠 핵심은 ‘자동화’입니다
저는 이 모든 투자 흐름을 매달 자동 입금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투자를 '감정'이 아닌 '시스템'으로 만들면 스트레스 없이 꾸준히 이어갈 수 있어요.
🤝 함께 준비해요
저는 블로그를 통해 편안한 은퇴와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분들과 정보를 나누고 있습니다.
단계별로 차근차근 준비하시면, 누구나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저와 함께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