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CD(정기예금)은 금리가 높을 때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증권사 머니마켓펀드(MMF)은 유동성과 시장 반영 수익률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투자 가능한 고금리 단기 현금 보관소” 입니다.
💡 MMF, 왜 쓰는 걸까?
MMF는 국채·기관 단기어음 등 초단기 우량자산에 투자해 매일 이자가 쌓이고, 대체로 T+1(영업일 1일)에 현금화가 가능한 현금성 자산입니다.
CD vs MMF 한눈 비교
구분 | 은행 CD | MMF |
---|---|---|
금리 | 고정, 가입 시 확정 | 변동, 시장 반영 빠름 |
유동성 | 만기 전 해지 시 이자 손실 | 언제든 인출 가능(보통 T+1) |
보장 | FDIC 보장(예금주당 최대 $250,000) | SIPC 커버리지(브로커 파산 대비·투자손실 제외) |
수익률(예시) | 예: 18개월 3.80% | 예: 7-Day SEC 4.17~4.22% |
🏦 많은 분들이 MMF를 안 쓰는 이유
👉 대부분 “몰라서” 못 씁니다
- “증권 계좌 여는 법이 어려워 보여서…”
- “펀드라서 위험할 것 같아서…”
- “CD는 안전하고 익숙해서…”
하지만 MMF는 주식이 아니고, 현금 대기자금에 특화된 상품입니다.
✋ 정말 쉽습니다 — 시작 방법
Step 1: 증권사 계좌 만들기
증권사 | 강점 |
---|---|
Fidelity | 한국어 상담 지원, 기본 현금자금에 SPAXX 자동 배정 |
Vanguard | 대표 MMF VMFXX 보유, 낮은 비용 |
Charles Schwab | 지점 접근성 양호, 자사 MMF 라인업 |
필요 서류: SSN/ITIN, 미국 신분증, 주소
Step 2: MMF 설정/매수 (예: Fidelity)
- 계좌에 현금 입금
- Trade → Mutual Funds 메뉴 선택
- Ticker 입력: SPAXX (Fidelity 기본 MMF)
- 금액 입력 후 매수
참고: Fidelity에서는 SPAXX가 기본 현금 자리로 자동 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Vanguard에서는 자사 MMF인 VMFXX를 사용합니다(브로커별 전용 MMF가 다름).
🙋 자주 묻는 질문(FAQ)
MMF는 매일 이자가 나오나요?
네. 매일 이자가 반영되어 자동 누적되고 보통 매 달 1-5일 사이에 지급받습니다.
언제든 꺼낼 수 있나요?
보통 T+1 영업일 내 현금화됩니다(브로커·펀드에 따라 다소 차이).
세금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대부분의 MMF 분배금은 1099-DIV(ordinary dividends)로 신고됩니다. 일부 정부MMF는 주(state) 소득세가 부분 면제될 수 있습니다. (투자손익에 따른 자본이득 과세는 일반적으로 드뭅니다.)
SIPC는 무엇을 보장하나요?
SIPC는 브로커 파산 시 고객 계좌 자산을 $500,000(현금 $250,000 포함)까지 보호합니다. 시장 변동에 따른 손실은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 결론: 현금에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CD는 확정 금리와 FDIC로 든든하고, MMF는 유동성과 시장 반영 수익률로 효율적입니다. 둘을 적절히 섞으면 안정성+유연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모르면 못 쓰는 것이지, 어렵지 않습니다.
👇 지난 포스팅 참조
📚 이전 글 & 다음 글
- ⬅️ 이전 글: 은행 CD vs 머니마켓 펀드(MMF) – 어디에 맡기는 게 더 유리할까?
- ➡️ 다음 글: 지금 사도 될까? 수학으로 증명된 투자 필승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