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폭락 때 진짜 부자들은 이렇게 움직였다 – 2015, 2018, 2020, 2022, 그리고 지금
2013년, 제가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했을 때는 막연히 ‘빠르게 돈을벌자’ 라는 생각 뿐 이였습니다. 하지만 그 후 12년간, 시장은 여러 번의 급락과 패닉을 반복했고, 그 속에서 저는 매번 똑같은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도대체 이럴 때, 부자들은 어떻게 대응할까?”
그리고 시간이 흐르며 알게 됐습니다. 폭락장 속에서 진짜 부자들은 시장을 예측하지 않습니다. 대신 그들은, ‘반드시 올 하락’을 전제로 미리 준비하고 있었죠.
📉 2015년 중국발 쇼크 – 처음 맛본 공포
당시엔 ‘중국 경제 둔화’라는 말이 생소했는데, 갑자기 다우지수가 하루 만에 1,000포인트 넘게 급락했습니다. 처음 보는 폭락에 손이 덜덜 떨렸고, 저도 모르게 모든 종목을 팔아버렸죠.
그런데 몇 달 뒤, 지수는 거의 다 회복됐고, 그때 패닉 매도한 종목은 훨씬 더 높은 가격으로 되돌아왔습니다.
⚠️ 2018년 금리+무역전쟁 더블 쇼크
2018년엔 연준의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 갈등이 겹치며, 4분기 S&P 500이 약 20% 급락했죠. 이때는 오히려 “지난번에 겁먹고 판 거 후회했는데, 이번엔 버텨보자”라는 생각으로 대응하다가 막판에, 결국에는 스스로 무너져 또 다시 모든 종목을 팔아버리게 됬어요.
놀랍게도, 2019년 초 시장은 반등했고, 또 다시 매도한 종목은 훨씬 더 높은 가격으로 되돌아왔습니다.
🦠 2020 팬데믹 – 처음으로 ‘감사한 하락’이란 걸 느꼈다
이건 정말 공포 그 자체였습니다. 시장도, 경제도, 세상 전체가 멈춰버리는 듯한 느낌. 그런데 이상하게도 세번째 경험이라 무뎌저서 그래서였는지 그때 전, 이제 다시 똑같은 실수를 번복하지 말자 ‘이건 기회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테슬라, 아마존, 구글 등 주식을 한 번에 사진 않고, 매주 조금씩 분할 매수하며 들어갔습니다.
6개월 후 시장은 반등했고, 이때 매수했던 주식들은 제가 지금까지도 가장 감사하게 느끼는 투자 경험 중 하나입니다, 특히 테슬라는 현재까지 2000% 수익을 달성했습니다.
💣 2022 금리 인상장 – 모두가 도망갈 때, 루틴으로 버텼다
금리가 급격히 오르며 기술주들이 줄줄이 무너졌습니다. 나스닥은 거의 35% 가까이 빠졌고,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미 루틴을 만들어두고 있었습니다.
- 📆 매달 정해진 날에 자동 입금
- 📉 10% 이상 빠지면 추가 매수
- 📋 감정이 아닌 시스템대로만 움직임
특히 이 시기에 모은 종목중에 팔란티어는 오늘날 현재까지 1700% 수익중입니다.
🚀 그리고 지금 – 사상 최고치, 또 한 번의 선택의 순간
2025년, S&P는 또다시 최고치를 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요즘 들어 조금씩 일부 종목을 줄이고, ‘다음 기회’를 위한 현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경험상, 시장은 늘 조정이 왔고, 그때마다 준비된 사람만이 크게 웃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 진짜 부자들은 예측하지 않는다. 준비할 뿐이다.
10년 넘게 시장을 겪으면서 느낀 건 딱 하나였습니다.
💬 “시장을 이길 수는 없어도, 시장에 휘둘리지 않을 수는 있다.” 그 비결은 단 하나, ‘미리 정해둔 루틴’입니다.
저도 폭락장은 두렵습니다. 하지만, 그 두려움을 ‘준비된 매수 기회’로 바꾸는 순간 계좌도, 마인드도, 전혀 다른 궤도에 오르더라고요.
📌 이 블로그를 통해 나누고 싶은 것
- 📊 폭락장마다 어떻게 대응했는지, 구체적인 전략
- 🔄 감정 대신 시스템으로 투자하는 법
- 💡 실패와 반성도 솔직히 공유하는 루틴 중심 사고
우리 같이 꾸준히 투자하는 힘을 키워가요. 주식은 타이밍이 아니라, 습관입니다.
👇 지난 포스팅 참조
📚 이전 글 & 다음 글
- ⬅️ 이전 글: 연소득 $230K 넘어도 가능한 Roth IRA 전략 세무사도 놓치는 백도어 전환 가이드
- ➡️ 다음 글: 홈
댓글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광고성 댓글은 삭제될 수 있어요 😊